2023.12.07 (목)

  • 맑음속초4.7℃
  • 맑음-0.9℃
  • 맑음철원0.7℃
  • 맑음동두천-0.5℃
  • 맑음파주-0.5℃
  • 맑음대관령-2.5℃
  • 맑음춘천1.6℃
  • 맑음백령도9.0℃
  • 맑음북강릉5.6℃
  • 맑음강릉5.4℃
  • 맑음동해7.3℃
  • 맑음서울1.6℃
  • 맑음인천4.6℃
  • 맑음원주2.6℃
  • 구름조금울릉도6.8℃
  • 맑음수원2.4℃
  • 맑음영월2.8℃
  • 맑음충주0.3℃
  • 맑음서산0.7℃
  • 맑음울진7.0℃
  • 맑음청주4.0℃
  • 맑음대전3.3℃
  • 맑음추풍령3.9℃
  • 맑음안동3.8℃
  • 맑음상주4.2℃
  • 맑음포항7.1℃
  • 맑음군산5.2℃
  • 맑음대구6.4℃
  • 맑음전주4.9℃
  • 맑음울산7.3℃
  • 맑음창원7.3℃
  • 맑음광주7.0℃
  • 맑음부산8.3℃
  • 맑음통영7.4℃
  • 맑음목포8.1℃
  • 맑음여수7.1℃
  • 맑음흑산도10.2℃
  • 맑음완도9.2℃
  • 맑음고창4.9℃
  • 맑음순천5.7℃
  • 맑음홍성(예)4.3℃
  • 맑음2.4℃
  • 맑음제주11.4℃
  • 맑음고산11.7℃
  • 맑음성산10.3℃
  • 맑음서귀포10.3℃
  • 맑음진주6.5℃
  • 맑음강화0.5℃
  • 맑음양평0.3℃
  • 맑음이천2.0℃
  • 구름조금인제2.3℃
  • 맑음홍천-0.5℃
  • 맑음태백0.1℃
  • 맑음정선군1.4℃
  • 맑음제천0.0℃
  • 맑음보은1.3℃
  • 맑음천안1.2℃
  • 맑음보령5.1℃
  • 맑음부여1.9℃
  • 맑음금산2.3℃
  • 맑음2.3℃
  • 맑음부안5.7℃
  • 맑음임실2.1℃
  • 맑음정읍4.3℃
  • 맑음남원2.8℃
  • 맑음장수1.1℃
  • 맑음고창군4.0℃
  • 맑음영광군4.8℃
  • 맑음김해시7.0℃
  • 맑음순창군2.7℃
  • 맑음북창원7.6℃
  • 맑음양산시7.9℃
  • 맑음보성군7.7℃
  • 맑음장흥7.8℃
  • 맑음해남6.8℃
  • 맑음고흥8.7℃
  • 맑음의령군5.8℃
  • 맑음함양군5.9℃
  • 맑음광양시6.1℃
  • 맑음진도군7.1℃
  • 맑음봉화3.0℃
  • 맑음영주3.6℃
  • 맑음문경4.2℃
  • 맑음청송군3.9℃
  • 맑음영덕4.8℃
  • 맑음의성1.8℃
  • 맑음구미4.1℃
  • 맑음영천6.0℃
  • 맑음경주시6.5℃
  • 맑음거창5.4℃
  • 맑음합천3.9℃
  • 맑음밀양7.2℃
  • 맑음산청5.7℃
  • 맑음거제8.2℃
  • 맑음남해8.1℃
  • 맑음8.0℃
부산시 산업지도, 「미래 신산업」 중심으로 새롭게 그린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시 산업지도, 「미래 신산업」 중심으로 새롭게 그린다!

- 부산시, 기존 서부산 제조업, 동부산 관광·정보통신(IT) 중심 간소한 양극체계에서 권역별로 디지털·친환경 중심의 미래 신산업 5대 혁신클러스터 조성해 신산업 멜팅팟(Melting Pot, 용광로)으로 새롭게 도약 중
- 기회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첨단투자지구 등 정부의 다양한 특구 지정 노력과 지정에 따른 파격적 인센티브는 신산업 성장의 촉매제 역할을 하며 우수 앵커기업의 부산행 돌진(러시)을 가속화해
- 지산학 혁신을 통한 지역인재 양성으로 새로운 산업지도의 지속성과 확장성도 확보해… 「청년 – 인재 - 기업」이 부산이라는 가마솥(釜)에서 바글바글 끊는 모습 기대

부산시는 부산의 산업지도가 권역별 혁신클러스터가 빼곡히 그려지며, 미래 신산업을 중심으로 새롭게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 전역에 새롭게 그려지고 있는 신산업 5대 혁신클러스터는 세계적(글로벌) ‘그린스마트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친환경 기술개발과 디지털 전환 중심의 미래 핵심 신산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지역별로 뚜렷한 개성을 지닌 산업군을 더욱 고도화하고, 주변의 지리적 이점과 연계한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집적화한 것이 큰 특징이다.

* 신산업 5대 혁신 클러스터 : (동부산) 마운틴밸리, 수영강벨트 /

                                            (원도심) 스타트업벨트, 부스트벨트 / (서부산) 낙동강벨트

 

먼저, 동부산권은 기장군 쪽으로 북동진하며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등 부산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새롭게 창출함과 동시에 디지털 혁신도 지속해 나가고 있다.

 

다음, 서면-문현-북항-영도를 잇는 원도심권은 도심형 친수공간으로 청년창업 특화 공간이자, 스마트 금융과 해양신산업 거점으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마지막, 서부산권은 사상-장림-에코델타시티(이하 'EDC')를 잇는낙동강 벨트로 스마트 제조업이 특화돼 있으며, 에코델타시티(EDC)를 중심으로 바이오·미래모빌리티·클라우드 등 첨단 연구개발(R&D) 산업의 메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들도 이러한 부산시의 노력에 화답해. 신산업 중심 우수 기업의 부산행 돌진(러시)도 본격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작년에는 3조 원이라는 역대 최대의 투자유치 실적을 달성했으며, 올해는 이미 3.9조 원 이상의 투자유치를 달성해 역대 최대 투자유치 실적 달성이 확실시된다.

 

삼성중공업, 한화파워시스템 등 대기업뿐 아니라 많은 강소기업이 연이어 부산에 둥지를 트는 것은 부산만의 차별화된 클러스터 산업정책과 인센티브,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기업의 경영상 이점과 성장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중앙정부의 다양한 경제특구·지구 지정도 부산시의 새로운 산업지도 개편에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윤석열 정부의 야심작인기회 발전특구와 국토교통부의도심융합특구가 그것이다.

 

기회발전특구는 지역균형발전의 핵심수단 중 하나로 조세감면, 규제특례, 재정지원, 정주여건 개선 등 기존과는 차별화된 파격적인 인센티브로 우수 기업의 지방투자와 지방이전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미 미래 신산업 중 금융’, ‘전력반도체’, ‘이차전지-모빌리티를 특구 모델로 제시하며 산업별 클러스터와의 상승효과(시너지) 극대화를 꾀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는 도심 한가운데 청년 중심의 산업, 주거, 문화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부산에는 해운대구 센텀2지구가 지난 2021년 특구 대상지로 선정됐다. 동부산권 디지털혁신거점의 중요한 한 축으로 혁신과 동반성장을 통한 신산업 생태계 허브로의 도약을 착실히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명지지구 내() ‘첨단투자지구’, 센텀2지구 등 도시첨단산업단지’, 14제곱킬로미터() 규모의 연구개발특구’, 블록체인·해양모빌리티·암모니아 규제자유특구’, ‘연구산업진흥단지’, 미음·지사 외국인투자지역등 이미 지정된 경제특구와 새롭게 지정을 추진 중인 글로벌혁신특구’, ‘국가첨단산업단지등 다양한 경제특구의 입체적 중첩 지정으로 기업과 청년 수요(니즈)에 맞는 산업 특화 종합선물세트가 도시 곳곳에 생겨나고 있다.

 

신산업 중심 산업지도 개편의 미래는 더욱 밝다. 새로운 산업지도가 지속하며 양적·질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씨앗인 우수 인재가지산학협력으로 계속해서 양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클러스터별 산업 고도화와 부산형 차세대 먹거리 발굴을 위한 부산시의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도 고무적으로 평가된다. 5년 주기의부산시 전략산업을 새롭게 개편하고 있고, 미래 부산 성장을 견인시킬부산형 미래 첨단산업발굴·육성방안도 집중적으로 논의하며 하반기 구체적 결과 도출에 노력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권역별 혁신 클러스터는 기업·기반시설(인프라) 중심의 하드웨어와 인재·기술 중심의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해 상승효과(시너지)를 창출하는 신산업 발전소가 될 것이다라며가마솥()이라는 부산의 명칭에 걸맞게 이른 시일 내 청년과 인재와 기업이 부산이라는 가마솥 안에서 바글바글하며 펄펄 끓어 넘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