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7 (목)

  • 맑음속초4.7℃
  • 맑음-0.9℃
  • 맑음철원0.7℃
  • 맑음동두천-0.5℃
  • 맑음파주-0.5℃
  • 맑음대관령-2.5℃
  • 맑음춘천1.6℃
  • 맑음백령도9.0℃
  • 맑음북강릉5.6℃
  • 맑음강릉5.4℃
  • 맑음동해7.3℃
  • 맑음서울1.6℃
  • 맑음인천4.6℃
  • 맑음원주2.6℃
  • 구름조금울릉도6.8℃
  • 맑음수원2.4℃
  • 맑음영월2.8℃
  • 맑음충주0.3℃
  • 맑음서산0.7℃
  • 맑음울진7.0℃
  • 맑음청주4.0℃
  • 맑음대전3.3℃
  • 맑음추풍령3.9℃
  • 맑음안동3.8℃
  • 맑음상주4.2℃
  • 맑음포항7.1℃
  • 맑음군산5.2℃
  • 맑음대구6.4℃
  • 맑음전주4.9℃
  • 맑음울산7.3℃
  • 맑음창원7.3℃
  • 맑음광주7.0℃
  • 맑음부산8.3℃
  • 맑음통영7.4℃
  • 맑음목포8.1℃
  • 맑음여수7.1℃
  • 맑음흑산도10.2℃
  • 맑음완도9.2℃
  • 맑음고창4.9℃
  • 맑음순천5.7℃
  • 맑음홍성(예)4.3℃
  • 맑음2.4℃
  • 맑음제주11.4℃
  • 맑음고산11.7℃
  • 맑음성산10.3℃
  • 맑음서귀포10.3℃
  • 맑음진주6.5℃
  • 맑음강화0.5℃
  • 맑음양평0.3℃
  • 맑음이천2.0℃
  • 구름조금인제2.3℃
  • 맑음홍천-0.5℃
  • 맑음태백0.1℃
  • 맑음정선군1.4℃
  • 맑음제천0.0℃
  • 맑음보은1.3℃
  • 맑음천안1.2℃
  • 맑음보령5.1℃
  • 맑음부여1.9℃
  • 맑음금산2.3℃
  • 맑음2.3℃
  • 맑음부안5.7℃
  • 맑음임실2.1℃
  • 맑음정읍4.3℃
  • 맑음남원2.8℃
  • 맑음장수1.1℃
  • 맑음고창군4.0℃
  • 맑음영광군4.8℃
  • 맑음김해시7.0℃
  • 맑음순창군2.7℃
  • 맑음북창원7.6℃
  • 맑음양산시7.9℃
  • 맑음보성군7.7℃
  • 맑음장흥7.8℃
  • 맑음해남6.8℃
  • 맑음고흥8.7℃
  • 맑음의령군5.8℃
  • 맑음함양군5.9℃
  • 맑음광양시6.1℃
  • 맑음진도군7.1℃
  • 맑음봉화3.0℃
  • 맑음영주3.6℃
  • 맑음문경4.2℃
  • 맑음청송군3.9℃
  • 맑음영덕4.8℃
  • 맑음의성1.8℃
  • 맑음구미4.1℃
  • 맑음영천6.0℃
  • 맑음경주시6.5℃
  • 맑음거창5.4℃
  • 맑음합천3.9℃
  • 맑음밀양7.2℃
  • 맑음산청5.7℃
  • 맑음거제8.2℃
  • 맑음남해8.1℃
  • 맑음8.0℃
부산항 친환경 선박연료(LNG) 공급 활성화를 위한 체계 구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항 친환경 선박연료(LNG) 공급 활성화를 위한 체계 구축

- 울산항만공사와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상호협력 증진 협약 체결
- 시장 활성화 위한 제도 및 규제개선, 마케팅, 정보 플랫폼 구축 협력

부산항만공사(이하 BPA)17, 울산항만공사(UPA) 사옥에서 울산항만공사와 동남권 항만 친환경 선박연료 벙커링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항만공사(PA)는 최근 LNG, 메탄올 등 친환경 선박연료의 벙커링 관련 인프라가 항만 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증가하는 부산항의 관련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협력을 다짐했다.

 

(왼쪽부터) 부산항만공사 강준석사장, 울산항만공사 김재균 사장.jpg
▲부산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동남권 항만 친환경 선박연료 벙커링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좌로부터 부산항만공사 강준석사장, 울산항만공사 김재균 사장(사진:부산항만공사)

 

PA는 세계 2위의 환적허브 항만인 부산항에 기항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세계 4위 수준의 액체화물 처리능력을 갖춘 울산항의 인프라를 활용하기로 했다. 대형 벙커링선(STS : Ship-to-Ship) 공급 방식을 통해 부산항을 기항한 선박을 대상으로 LNG나 메탄올 등 친환경 선박연료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부산항과 울산항은 약 50km 떨어진 지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선사들의 수요에 따라 벙커링선박을 통해 친환경 선박연료를 탄력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양 PA는 친환경 선박연료 초기시장 형성을 위해 벙커링 선박과 실증에 참여하는 항만사업장에 항비를 감면하는 등 인센티브 지원에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시장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선박연료 관련 제도 및 규제 개선과 정보 플랫폼 구축에도 공동으로 협력한다.

 

단체사진.jpg
▲부산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동남권 항만 친환경 선박연료 벙커링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부산항만공사)

 

BPA는 이번 협력체계 구축사례를 글로벌 선사들의 벙커링 유치 등 부산항의 항만경쟁력을 홍보하는 마케팅 활동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BPA 강준석 사장은 부산항이 친환경 선박연료 벙커링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부산항이 더욱 경쟁력 있는 항만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항의 2050 탄소중립 항만 실현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월 열린 IMO의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국제해운 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기존 50%에서 100%(Net-zero)로 대폭 상향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